본문 바로가기
주식 경제 금용

재산세·종부세, 계산법과 납부 시기 핵심 요약

by 인폰패스트 2025. 8. 12.
반응형

부동산 보유자라면 매년 마주하는 세금, 재산세종합부동산세(종부세). 자주 헷갈리는 계산 방식과 납부 시기를 핵심만 빠르게 정리했습니다. 상세 내용 확인·절세 전략은 본문 중간의 버튼으로 전체 가이드를 확인하세요.

재산세 vs 종부세 한 줄 비교

  • 재산세 ─ 지방세, 모든 부동산 보유자 대상(과세표준·세율에 따라 부과)
  • 종부세 ─ 국세,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고가·다주택 보유 시 추가 부과

재산세·종부세 납부 시기

세금 종류 납부기간 비고
재산세(주택) 1기분 7월 16일 ~ 7월 31일 주택분은 7·9월 2회 분할
재산세(주택) 2기분 9월 16일 ~ 9월 30일 주택분 2차 납기
재산세(토지) 9월 16일 ~ 9월 30일 토지분 9월 일괄
종합부동산세 12월 1일 ~ 12월 15일 기한이 공휴일이면 다음 첫 평일

※ 전자고지·납부: 위택스 · 종부세 안내: 국세청

계산 포인트만 콕 집어보기

  • 재산세: 과세표준(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60%) × 세율
  • 종부세: (공시가격 합계 − 공제금액) × 공정시장가액비율(60%) × 세율 − 세액공제
  • 공시가격 조회: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종부세 분납 핵심 — 납부세액 250만 원 초과 시 가능. 250~500만 원: 초과분 분납, 500만 원 초과: 세액의 50% 이내, 분납 기한은 납부기한 경과 후 6개월 이내. 농특세는 종부세의 20%이며 분납 비율 동일.

자주 묻는 질문(FAQ)

Q. 재산세와 종부세를 동시에 납부할 수도 있나요?
가능합니다. 모든 보유자는 재산세 대상이며, 기준을 초과하면 종부세가 추가 부과됩니다.
Q. 종부세 분납은 누가, 어떻게 할 수 있나요?
납부세액이 250만 원을 넘으면 분납 가능하며, 금액대에 따라 초과분 또는 50% 이내로 나눠 납부할 수 있습니다.
Q. 온라인 납부와 공시가격 확인은 어디서 하나요?
재산세는 위택스, 공시가격은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부동산 보유세 재산세 종부세 계산법 이라고 써진 블로그 대표 포스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