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양 공적체계 전환: 7월 19일부터 민간 대신 국가·지자체가 입양 절차 직접 관리. (지자체) 아동의 입양 필요성 결정, 후견인 역할 / (국가) 입양정책위원회(위원장: 복지부 장관, 사무국 아동권리보장원) 중심으로 양부모 적격심사 및 결연 등 전반관리
자활성공지원금 신설: 10월 부터 근로 능력 수급자가 자활사업 참여 후 취·창업등 장기적 자립을 하도록 자활성공지원금 신규 지급. 1년 최대 150만원 지원. (대상) ①자활근로사업 참여 후 ②민간 취·창업으로 ③탈수급(생계급여) 지속한 생계급여 수급자 (금액) 민간 취·창업 6개월 지속 시 50만원 지급, 추가 6개월 지속 시 100만원 추가 지급
육아휴직·근로시간 단축 지원금 요건 완화: 제도 사용 후 6개월 내 자발적 퇴사해도 사업주에게 지원금 잔여분 50% 지급. 육아휴직․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금 : 육아휴직 등을 30일 이상 부여한 우선지원 대상기업 사업주에게 지급 (육아휴직시 연간 최대 870만원,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시 연간 최대 360만원)
담배유해성관리법 시행: 11월부터 담배 유해성분 의무 분석·공개.
4. 2025년 하반기 문화 · 체육 · 관광 정책
헬스장·수영장 소득공제: 7월 1일부터 전국 1,000여 개 체육시설 이용료에 소득공제 30%(총급여 7천만원 이하).
통합문화이용권 1인당 지원금 인상: 기초수급자·차상위계층 연간 13만원 → 14만원.
5. 2025년 하반기 환경 · 기상 정책
하천 홍수정보 제공 확대: 6월 30일부터 내비게이션으로 전국 933곳 심각단계 홍수정보 제공.
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의무 강화: 재생원료 사용 의무 대상·목표율 단계적 상향.
6. 2025년 하반기 산업 · 중소기업 · 에너지 정책
전력망 확충 특별법 시행: 9월부터 전력망 건설 관련 갈등 해소, 인허가 확대, 주민 보상·지원 강화.
중소기업 매출기준 상향: 최대 1,500억 → 1,800억, 소기업 매출기준 최대 120→140억원 세제감면·공공조달, 정부지원사업 등 혜택을 계속 받을 수 있도록 개편.
하도급법상 부당특약 무효화: 10월부터 부당비용 전가 특약 즉시 무효.
7. 2025년 하반기 국토 · 교통 정책
단기 등록임대주택 도입: 6월 4일부터 임대의무기간 6년으로 완화. 대상 : 연립‧다세대 등 아파트 외 주택과 오피스텔 등 준주택
광역전철 자동발매기 개선: 교통약자 맞춤형 신형 승차권 발매기 도입.
8. 2025년 하반기 농림 · 수산 · 식품 정책
농업진흥지역 쉼터 허용: 폭염·한파 쉼터 설치 가능, 가공·처리시설 면적 확대.
농지이용증진사업 요건 완화: 단체 인원 축소, 법인 단독 시행 가능.
동물보호 강화: 입양 가능 동물 수 확대(7월), 동물병원 진료비 게시 의무(8월).
9. 2025년 하반기 국방 · 병무 정책
취업맞춤특기병 특기 확대: 직업계고 졸업(예정)자는 전 특기 83개로 병역 활용 가능.
10. 2025년 하반기 행정 · 안전 · 질서 정책
아동학대범죄 처벌 특례법 개정: 피해아동 보호조치 실효성 강화.
지방계약제도 개선: 지역 건설업체 적정대가 보장, 부담 완화.
모바일 신분증 발급 확대: 네이버, 토스, 국민은행, 농협은행, 카카오뱅크 앱 등 민간앱에서도 발급 가능.
2025년 하반기 변화되는 정책은 모두의 삶과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지금부터 꼼꼼히 챙겨두세요!
이 글에 소개된 내용은 정부가 공식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했습니다. 더 자세한 정책 원문은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바로가기에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