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복지·국민혜택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대상 총정리|지급 기준(소득상위10%)·신청 방법·사용처 확대

by 인폰패스트 2025. 8. 28.
반응형

민생회복소비쿠폰2차지급총정리 라고 적힌 블로그 대표 이미지

정부가 오는 9월 22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을 시작합니다. 이번에는 1인당 10만 원씩, 전국민의 약 90%가 대상이지만 소득 상위 10% 가구는 제외됩니다. 특히 이번 2차에서는 하나로마트와 로컬푸드직매장 사용처가 대폭 확대되어 농어촌 주민들의 편의가 크게 개선될 예정입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개요

  • 신청기간: 20225년 9월 22일(월) ~ 10월 31일(금)
  • 지급일정: 2025년 9월 22일(월)부터 순차 지급
  • 지급대상: 전국민 90% (소득 상위 10% 제외)
  • 지급금액: 1인당 10만 원
  •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신용·체크카드 충전,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 등)
                   오프라인 신청(신용·체크카드,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지류형,카드형)
  • 사용기한: 2025년 11월 30일까지 (미사용분 자동 소멸)

행정안전부 공식 안내 포스터 민생회복지원금 지원대상 규모, 방식, 지원금액
출처-행안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소득·자산 기준

소득 기준

정부는 기준 중위소득 210%를 초과하는 가구를 제외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른 잠정 월 소득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인 가구: 월 502만 원 초과 시 제외
  • 2인 가구: 월 825만 원 초과 시 제외
  • 3인 가구: 월 1055만 원 초과 시 제외
  • 4인 가구: 월 1280만 원 초과 시 제외

자산 기준

  • 재산세 과세표준 12억 원 초과 주택 보유자 제외
  • 연간 금융소득 2000만 원 초과자 제외

※ 최종 확정 기준은 2025년 9월 10일 정부 발표 예정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금 신청방법 및 일정, 지급방식이 안내된 행안부 공식 포스터
출처-행안부

민생회복소비쿠폰2차 신청 방법

① 온라인 신청

  • 카드사 홈페이지·앱 (신용/체크카드 선택)
  • 복지로 사이트 (공동인증서 로그인)
  • 지역사랑상품권 앱·지자체 사이트

② 오프라인 신청

  • 은행 영업점: 본인 명의 계좌 보유 은행(국민, 우리, 농협, 신한 등) 방문
  •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선불카드 및 지역사랑상품권 신청 가능
  • 대리 신청: 고령층·장애인의 경우 가족이 위임장+신분증 지참 시 가능

이처럼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신청이 가능해, 누구나 편리하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 절차를 알기쉽게 그래픽으로 그려진 행정안전부 공식 안내문
출처-행안부

지급 시기·사용 기한·사용처

지급 시기

  • 2025년 9월 22일부터 순차 지급

사용 기한

  • 2025년 11월 30일까지 (이후 미사용 잔액 소멸)

사용처 확대

이번 2차 소비쿠폰에서는 1차와 동일하게 전통시장·편의점·소규모 점포 외에 농어촌 지역 맞춤형 사용처 확대가 핵심입니다.

  • 하나로마트: 기존 121곳 → 779곳 (654개 면 지역 + 읍 소재 4곳 포함)
  • 로컬푸드직매장: 기존 22곳 → 252곳 (공공형 21곳 + 면 소재 209곳 추가)
  • 편의점, 전통시장, 생활밀착 업종 동일 적용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기한, 사용지역, 사용처가 안내된 행안부 공식 포스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가능업종, 사용불가 업종이 안내된 행정안전부 공식 포스터

1차 소비쿠폰 지급 성과

지난 1차 지급에서는 4893만 명(전체 대상의 96.7%)이 신청해 높은 참여율을 보였습니다. 특히 지급 직후 1주차 가맹점 매출이 전주 대비 19.5% 증가하며 소비 진작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이번 2차 역시 소상공인·전통시장 매출 회복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리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는 단순한 지원을 넘어 소비 활성화와 소상공인 매출 증대라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노립니다. 소득·자산 기준을 충족한다면 반드시 신청해 혜택을 누리시길 권장합니다.


본 글은 정부 정책 발표 및 주요 언론 보도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최종 기준은 9월 10일 정부 공식 발표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